광주백범기념관

광주백범기념관
HOME 공지사항
KIM-KOO MEMORIAL HALL
백범 김구
한말잠행과 삼남순회 보성은거가 함평은거가 광주 백화마을

김구가 처음 삼남지방에 발을 내딛은 때는 구한말이었다. 당시 이름은 김창수였다. 김창수는 1896년 치하포 사건 후 살인죄로 체포되었다. 법부에서 사형에 처할 것을 건의했으나 고종은 그의 의기를 높이 여겨 집행을 보류시켰다. 미결수로 인천감리서에 갇혀 있던 김창수는 심사숙고 끝에 탈옥을 결심하고, 1898년 3월 탈옥하는데 성공해 정처 없는 도망자의 길을 떠났다. 서울을 거쳐 오산, 공주, 강경, 남원, 함평, 무안, 목포, 해남 관두, 강진 고금도, 완도, 고흥, 장흥, 보성 득량, 화순 동복, 담양, 하동 쌍계사, 계룡산 갑사 등지를 방랑하다가 그해 늦가을 공주 마곡사에서 승려가 되었다.

치하포 사건 후 1898년 3월 도망자의 신분으로 삼남지방을 향했던 김창수가 48년이 지난 1946년 9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으로서 지나온 자취를 찾아 나섰다. 이는 과거 자신을 보살펴 주었던 사람들에게 은혜를 갚기 위한 보은의 답방이었다.

제주에서 시작된 삼남지방 순회는 부산, 진해, 한산도로 이어졌다. 그 다음 행선지는 여수, 순천, 보성, 광주, 함평으로 이어졌으며, 이후 김해, 창원, 진주, 전주, 목포, 군산, 강경 등지도 시찰하였다.

보성 득량면 삼정리 쇠실마을은 안동김씨 집성촌이다. 김구가 치하포 사건 후 도망자의 신분으로 40여 일간 은신하였던 곳이다. 김구는 김광언의 집에 머물며 뒷산 바위에 올라 체조도 하고 바위 밑에 흐르는 물에 멱을 감으며 지냈다고 한다. 특히 지역민에게 시대상과 우리 역사를 가르쳤는데 그가 떠난 후 쇠실마을에는 문풍이 일어나 많은 인재를 배출하였다.

현재 쇠실마을에는 김광언의 집에 남아있으며, 후손들이 『동국사기』를 보존하고 있다. 또 마을주민과 보성군은 1990년 ‘백범김구선생은거추모비’를, 2006년에는 ‘백범김구선생은거기념관’을 건립해 그 인연을 더욱 빛내고 있다.

함평 이진사가는 1898년 인천감리서를 탈옥한 김구가 삼남을 잠행할 때 머물렀던 함평 이동범 진사의 집이 있던 곳이다.
현재 이진사의 아들 이재혁 가옥이 있다. 당시 김구는 ‘낮에는 연못 가운데 있던 육모정에서, 밤에는 다락방에서 기거했다. (함평군사)‘고 전해진다.

1946년 광주대성초등학교에서도 ‘김구 선생 환영 기념강연회’가 열렸다. 당시 광주부윤(시장)인 서민호씨가 환영인사를 하면서 귀국동포 전재민戰災民들의 어려운 처지를 말하자, 김구는 그동안 여러 곳에서 성금으로 받은 선물, 해산물, 육산물, 금풍 등을 모두 전재민을 위해 사용해달라고 기증했다.

독립운동가인 서민호 광주부윤은 김구의 희사금을 종잣돈 삼아 갱생촌 850평의 대지에 4~4.2평의 작은 건물 100여 가구를 세워 전재민들의 보금자리를 마련했다. ‘백 가구가 화목하게 살아라.’는 의미로 ‘백화百和마을’이라고 하였다.